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 최저시급 10,320원 확정! 알바 월급·주휴수당 계산법 총정리
안녕하세요 😊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최저시급 10,320원이 확정됐습니다!
이번 인상은 단순히 시급만 오르는 게 아니라, 주휴수당, 월급, 실업급여 기준액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어요.
오늘은 바뀐 시급 기준을 토대로 주급과 월급, 주휴수당까지 계산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알려드릴게요 😊
🙋 2026년 최저시급 인상 개요
2025년 시급 10,030원 대비 290원(2.9%) 인상된 10,320원이 2026년부터 적용됩니다.
노동계는 11,500원을 요구했고, 경영계는 동결을 주장했으나 공익위원 중재로 결정됐어요.
이 인상은 2008년 이후 17년 만의 3자 합의로 큰 의미가 있답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근로일 개근 시, 1일 유급 휴일 수당이 주어져요.
10,320원 × 8시간 = 82,560원입니다. (2025년 대비 160원 증가)
💵 주급 계산
주 5일 근무, 하루 8시간 기준이라면:
- 기본 임금: 10,320원 × 40시간 = 412,800원
- 주휴수당: 10,320원 × 8시간 = 82,560원
총 주급: 495,360원
💰 월급 계산
법정 월 근로시간 209시간 기준:
10,320원 × 209시간 = 2,156,880원
🎒 실업급여 하한액
- 2025년: 64,192원
- 2026년: 66,048원
(하루 8시간 기준, 최저임금의 80%)
📊 연도별 최저임금 변화
년도 | 최저시금 | 인상률 |
---|---|---|
2021 | 8,720원 | 1.5% |
2022 | 9,160원 | 5.0% |
2023 | 9,620원 | 5.0% |
2024 | 9,860원 | 2.5% |
2025 | 10,030원 | 1.7% |
2026 | 10,320원 | 2.9% |
📅 최저임금 인상이 내 월수입에 미치는 영향은?
월급제 기준 (주 40시간 근무):
2025년: 2,096,279원 → 2026년: 2,156,880원
월 약 60,600원 인상으로, 체감 수입이 증가합니다.
시급제 기준 (주휴수당 포함):
주휴일이 4번일 경우: 약 2,146,560원
주휴일이 5번일 경우: 약 2,229,120원
실수령액:
4대 보험 공제 후 2025년 약 190만 원 → 2026년 약 190~196만 원 예상
기타 영향:
초과근로수당, 야간수당, 퇴직금 등 법정수당의 기준 역시 인상된 최저임금이 적용됩니다.
실업급여, 고용장려금 등의 복지 기준액도 상승하게 됩니다.
주의사항:
최저임금보다 낮게 지급되는 근로계약은 무효입니다. 반드시 임금 조정을 요구할 수 있어요.
⚠ 법적 적용 방식
- 1인 이상 건물에서 그대로 적용
- 고정, 일시건대, 부모여사용, 건인여보 모두 포함
- 공일의 업무가 없다면 3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
🔒 참고 링크
👋 마치며
최저임금 인상은 근로자에게는 소득 향상의 기회이지만,
동시에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는 인건비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더 나은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기 위해선,
최저임금이 생활 안정과 경영 지속성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제도가 되어야 하겠죠.
이번 시급 인상을 여러분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계신가요?
근로자이든, 사업주이든 현장에서 느끼는 고민과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들려주세요.
서로의 현실을 이해하고 함께 나누는 대화가 더 나은 변화를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